이번 독감은 열이 많이 오르고 앓는 기간이 긴 것 같습니다. 주변에 독감 걸린 분들이 많이 보이는데 모두들 올 겨울 독감 잘 피해가시길 바랍니다.

 

독감은 매년 찾아오고 매년 독감 관련주가 반짝 하는데, 독감 관련주는 독감(인플루엔자)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입니다. 주요 종목은 백신 개발, 진단 키트, 치료제, 의료 장비 및 관련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나뉩니다.

 

1. 백신 제조 관련주

독감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백신을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기업들입니다.

 

녹십자(006280): 국내 독감 백신 시장 점유율 1위로, 4가 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군 보유.

SK바이오사이언스(302440): 백신 개발과 생산 능력을 갖춘 회사로, 독감 외에도 다양한 백신 연구 진행 중.

유바이오로직스(206650): 백신 개발 전문 기업으로, 글로벌 백신 공급망 확장에 집중.

보령(003850): 독감 예방 백신을 비롯한 다양한 의약품 생산.

 

2. 진단 키트 관련주

독감 및 감염병 진단을 위한 키트를 생산하는 기업들로, 신속 진단 수요 증가 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.

 

씨젠(096530): 다중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독감과 COVID-19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키트 개발.

휴마시스(205470): 신속 진단 키트 전문 기업으로, 감염병 관련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.

SD바이오센서(137310): 독감 진단 키트와 함께 다양한 질병 진단 솔루션 제공.

 

3. 치료제 및 항바이러스제 관련주

독감 치료제(예: 타미플루 대체제)와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거나 생산하는 기업들입니다.

 

녹십자홀딩스(005250): 독감 치료제 및 혈액제제 관련 연구와 생산.

한미약품(128940): 항바이러스제 및 기타 감염병 치료제 개발에 주력.

JW중외제약(001060): 감염병 치료제와 면역 관련 의약품 개발 진행.

 

4. 의료 장비 및 서비스 관련주

독감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사용되는 의료 장비, 서비스 제공 기업들입니다.

 

인바디(041830): 체온, 면역력과 관련된 건강 모니터링 장비 제공.

파크시스템스(140860): 정밀 의료기기 관련 기술 보유.

 

5. 원료 및 소재 관련주

백신 및 치료제 제조에 필요한 원료와 바이오 소재를 제공하는 기업들입니다.

 

대웅제약(069620): 백신 원료 및 항바이러스제 개발.

삼성바이오로직스(207940):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(CMO)으로 독감 관련 백신 제조 가능성.

셀트리온(068270): 바이오시밀러 및 항체 치료제 개발.

 

6. 글로벌 독감 관련주

해외 독감 관련주로,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는 기업들입니다.

 

Pfizer(화이자): 독감 백신과 치료제 개발.

Moderna(모더나): 독감과 COVID-19의 mRNA 백신 동시 개발.

Roche(로슈):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 개발사로, 진단 기술에서도 선도적 역할.

 

7. 마스크 관련주 

마스크를 생산, 판매하는 국내 기업들입니다.

 

씨앤투스(352700): 자체 브랜드 아에르(Aer) 마스크 및 산업용 등 다양한 마스크 판매.

레몬(294140): 자체 브랜드 에어퀸(Air Queen) 마스크 및 생리대 등 판매.

웰크론(237880): 마스크 뿐 아니라 다양한 리빙 제품을 판매.

 

8. 시장 전망 및 투자 포인트

– 독감 시즌 확대: 겨울철뿐 아니라 봄, 가을에도 독감 유행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매출 성장 가능성.

– 진단 키트 수요: COVID-19와 독감의 동시 유행 가능성(트윈데믹)으로 다중 진단 키트 수요 증가.

– 정부 지원 확대: 전염병 예방 및 대응 강화를 위한 정부의 백신 및 치료제 지원 확대.

– 해외 시장 진출: 글로벌 시장에서 백신 및 진단 키트 수요 증가.

 

9. 리스크

– 백신 및 치료제 가격 경쟁 심화.

– 전염병 유행 규모 축소에 따른 수요 감소.

– 규제 및 승인 지연 가능성.